ebpf 3

[Cilium Study] 6주차 - Sidecar를 넘어, eBPF로 구현하는 서비스 메시

지난 5주차 스터디에서는 BGP와 ClusterMesh를 통해 클러스터의 경계를 넘어 외부 네트워크, 그리고 다른 클러스터와 통신하는 방법을 다루었습니다. 클러스터의 '남-북(North-South)' 트래픽과 클러스터 간 통신을 마스터한 셈이죠. 이제 우리의 시선은 다시 클러스터 내부로,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복잡하고 동적인 '동-서(East-West)' 트래픽으로 향합니다. 바로 서비스 메시(Service Mesh) 의 영역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서비스 메시의 기본 개념부터 시작하여, 기존의 Sidecar 모델이 가졌던 한계와 이를 eBPF로 극복하는 Cilium의 혁신적인 접근법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또한, Ingress의 차세대 표준인 Gateway API와 강력한 워크로드 신원 증명 프레임워크..

Study/CS 2025.08.23

[Cilium Study] 2주차 - 1. Cilium Hubble을 통한 네트워크 관측

지난 포스팅에서는 Cilium과 eBPF의 기본 개념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CNI가 정상적으로 배포되어 클러스터가 동작하더라도, 파드 간의 네트워크 흐름이나 적용된 정책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러한 내부 동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관측 도구가 필요합니다. Cilium 환경에서 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Hubble(허블) 입니다. Hubble은 Cilium에 특화된 관측 가능성(Observability) 플랫폼으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Hubble을 설치하고 활용하여 쿠버네티스 네트워크를 관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Hubble 소개 Hubble은 Cilium과 eBPF를 기반으로 구축된 분산 네트워킹 및 보안 관측 플랫폼입니다. eBPF를 직접 활용..

Study/CS 2025.07.27

[Cilium Study] 1주차 - 3. iptables의 한계와 돌파구, eBPF와 Cilium

[Cilium Study] 1 주 차 - 2. CNI와 Kubernetes 네트워킹에서 이어집니다. [Cilium Study] 1주차 - 2. CNI와 Kubernetes 네트워킹이전 포스팅 [Ciliu Study] 1주 차 - 1. 실습 환경 구성에서 이어집니다. [Cilium Study] 1주차 - 1. 실습 환경 구성'가시다'님의 [Cilium Study] 1기의 내용을 정리하는 시리즈 구성의 포스팅을 시작하려고 합니tech-recipe.tistory.comiptables의 복잡한 작동 방식 지난 포스팅 말미에 'webpod' Service의 ClusterIP에 대한 라우팅 규칙에 대해서 잠깐 살펴보았습니다. 그 내용을 다시 복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webpod svc의 clsuter ip에 ..

Study/CS 2025.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