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6

[Cilium Study] 8주차 - 네트워크를 넘어 커널까지: Cilium Security와 Tetragon

Cilium Study의 긴 여정이 드디어 마지막 주제에 도달했습니다. 우리는 CNI의 기본부터 서비스 메시, 성능 튜닝에 이르기까지 Cilium이 제공하는 강력한 기능들을 단계별로 학습했습니다. 이 모든 기술의 정점에는 바로 '보안' 이 있습니다. 동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어떻게 우리의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까요?이번 마지막 포스팅에서는 기존의 경계 기반 보안 모델의 한계를 짚어보고, Cilium이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원칙을 어떻게 네트워크 정책에 구현하는지 살펴봅니다. 또한, 네트워크를 넘어 커널 레벨의 행위까지 감지하고 차단하는 eBPF 기반의 혁신적인 런타임 보안 솔루션, Tetragon의 세계로 깊이 들어가 보겠습니다.1. 경계..

Study/CS 2025.09.07

[Cilium Study] 7주차 - 대규모 클러스터를 위한 Kubernetes와 Cilium 성능 분석 및 튜닝

지금까지 우리는 Cilium의 다양한 네트워킹 및 보안 기능을 학습하며 강력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하지만 클러스터의 규모가 수백, 수천 개의 노드로 확장되고 수만 개의 파드가 동작하는 대규모 환경이 되면, 우리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됩니다. 바로 '성능' 입니다. 응답이 느려지는 API 서버, 원인 모를 파드 생성 실패, 간헐적인 네트워크 드롭 등은 클러스터의 안정성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습니다.이번 7주차 스터디에서는 대규모 클러스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성능 병목 지점을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튜닝 전략을 심층적으로 다루고자 합니다. Kubernetes 컨트롤 플레인의 심장인 kube-apiserver와 etcd의 동작 원리부터 Cilium 데..

Study/CS 2025.08.30

[Cilium Study] 6주차 - Sidecar를 넘어, eBPF로 구현하는 서비스 메시

지난 5주차 스터디에서는 BGP와 ClusterMesh를 통해 클러스터의 경계를 넘어 외부 네트워크, 그리고 다른 클러스터와 통신하는 방법을 다루었습니다. 클러스터의 '남-북(North-South)' 트래픽과 클러스터 간 통신을 마스터한 셈이죠. 이제 우리의 시선은 다시 클러스터 내부로,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복잡하고 동적인 '동-서(East-West)' 트래픽으로 향합니다. 바로 서비스 메시(Service Mesh) 의 영역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서비스 메시의 기본 개념부터 시작하여, 기존의 Sidecar 모델이 가졌던 한계와 이를 eBPF로 극복하는 Cilium의 혁신적인 접근법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또한, Ingress의 차세대 표준인 Gateway API와 강력한 워크로드 신원 증명 프레임워크..

Study/CS 2025.08.23

[Cilium Study] 2주차 - 1. Cilium Hubble을 통한 네트워크 관측

지난 포스팅에서는 Cilium과 eBPF의 기본 개념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CNI가 정상적으로 배포되어 클러스터가 동작하더라도, 파드 간의 네트워크 흐름이나 적용된 정책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러한 내부 동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관측 도구가 필요합니다. Cilium 환경에서 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Hubble(허블) 입니다. Hubble은 Cilium에 특화된 관측 가능성(Observability) 플랫폼으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Hubble을 설치하고 활용하여 쿠버네티스 네트워크를 관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Hubble 소개 Hubble은 Cilium과 eBPF를 기반으로 구축된 분산 네트워킹 및 보안 관측 플랫폼입니다. eBPF를 직접 활용..

Study/CS 2025.07.27

CKAD 취득 후기

얼마 전 CKAD를 취득하게 되었습니다. 작년에 취득했던 CKA에 이어서 벌써 Kubernetes 자격증도 2개가 되었군요. CKAD 자격시험 준비 과정과 시험 내용에 대해서 간단히 포스팅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CKAD란 Certified Kubernetes Application Developer의 줄임말로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개발자 입장에서 Kubernetes를 다루는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시험 내에서 실제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CKA에 비해서 조금 더 개발자적인 부분을 다룹니다.  시험 준비는 역시나 CKA 취득때와 마찬가지로 우리 뭄형(영상으로 자주 보다 보니 내적 친밀감이...)의 Udemy 강의[링크]를 기본으로 하였습니다. 내용은 CKA와 많이 비슷합니다..

Study/Certification 2025.01.28

CKA 취득 후기

안녕하세요? 오래간만에 포스팅 올립니다. 그동안 이것저것 좀 한다고 포스팅이 뜸했네요. 그동안 여전히 스터디를 지속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Kubernetes에 좀 집중하여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이러던 중, 내가 얼마만큼 알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자격시험을 하나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바로 CKA(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입니다. 포스팅을 한다는 것은 당연히 자격을 취득했다는 뜻이겠죠?😎  CKA란? Linux Foundation에서 주관하는 시험으로, Kubernetes 관리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Kubernetes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운영, 관리 그리고 가벼운 트러블 슈팅에 대한 능력을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Kubernetes의 네트워킹, 스토리지, 보안..

Study/Certification 2024.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