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15

[Cilium Study] 1주차 - 1. 실습 환경 구성

'가시다'님의 [Cilium Study] 1기의 내용을 정리하는 시리즈 구성의 포스팅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이번 스터디를 통해 Kubernetes의 Network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본 포스팅은 [Cilium Study 1기]의 1주 차 내용으로 실습 환경을 구성하는 방법부터 소개합니다.VirtualBox와 Vagrant를 활용한 가상 머신 구성 이번 [Cilium Study]를 시작하면서 평소 막연하게 생각해왔던 VirtualBox와 Vagrant를 체험해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원래 VMware의 제품군에 많이 익숙해서 VMware Workstation Pro나 VMware vSphere를 자주 사용했었고, 소규모 환경은 주로 Manual 하게 구성하는 경우가 많아서 Vagr..

Study/CS 2025.07.19

Bootable container, 그리고 bootc

부팅 가능한 컨테이너와의 첫 만남 한 달 정도 전, 오픈 인프라 커뮤니티 코리아의 오프라인 세미나에서 bootc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처음에 들었을 때는 이게 대체 뭘 하는 건지 감이 잘 오질 않았습니다. 분명 제가 알고 있는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가상머신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컨테이너가 등장했다고 했는데... 근데 다시 그 컨테이너를 부팅한다고요? 아니 왜? 위 그림에서도 볼 수 있듯, 가상머신과 컨테이너는 아예 개념 자체가 다릅니다. 가상 머신은 하이퍼바이저 위에서 개별적인 커널로 구동되는 독립적인 시스템이고, 컨테이너는 OS위의 프로세스일 뿐이므로(물론 독립적인 특징이 있긴 하지만) 부팅이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컨테이너를 띄운다는 것은 OS 입장에서는 단지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뿐이죠. 그런데 '..

Study/CS 2025.04.16

CKAD 취득 후기

얼마 전 CKAD를 취득하게 되었습니다. 작년에 취득했던 CKA에 이어서 벌써 Kubernetes 자격증도 2개가 되었군요. CKAD 자격시험 준비 과정과 시험 내용에 대해서 간단히 포스팅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CKAD란 Certified Kubernetes Application Developer의 줄임말로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개발자 입장에서 Kubernetes를 다루는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시험 내에서 실제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CKA에 비해서 조금 더 개발자적인 부분을 다룹니다.  시험 준비는 역시나 CKA 취득때와 마찬가지로 우리 뭄형(영상으로 자주 보다 보니 내적 친밀감이...)의 Udemy 강의[링크]를 기본으로 하였습니다. 내용은 CKA와 많이 비슷합니다..

Study/Certification 2025.01.28

CKA 취득 후기

안녕하세요? 오래간만에 포스팅 올립니다. 그동안 이것저것 좀 한다고 포스팅이 뜸했네요. 그동안 여전히 스터디를 지속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Kubernetes에 좀 집중하여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이러던 중, 내가 얼마만큼 알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자격시험을 하나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바로 CKA(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입니다. 포스팅을 한다는 것은 당연히 자격을 취득했다는 뜻이겠죠?😎  CKA란? Linux Foundation에서 주관하는 시험으로, Kubernetes 관리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Kubernetes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운영, 관리 그리고 가벼운 트러블 슈팅에 대한 능력을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Kubernetes의 네트워킹, 스토리지, 보안..

Study/Certification 2024.02.11

[패스트캠퍼스] 웹 개발 강의 후기 및 외부 서비스에 대하여...

최근 개인적으로 DevOps와 관련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개발자 둘과 협업하여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 그중 내가 담당하고 있는 부분은 인프라 제공과 CI/CD 파이프라인을 구성하는 것이다. 인프라는 Kubernetes를 기반으로 제공할 예정이고, 이미 구축을 완료한 상태이다. CI/CD 파이프라인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학습이 된 상태인데, 개발에 대한 이해가 거의 전무해서 이 부분에 대한 학습이 필요했다. 함께 프로젝트를 하고 있는 동료들에게 매번 물어볼 수 도 없는 일이어서 고민하던 차에 패스트캠퍼스의 「코딩 1:8 | 웹 개발 왕초보 입문」 과정을 발견하게 되었다. 내일배움카드를 소지하고 있으면 신청이 가능한데, 국비지원교육으로 클라우드 엔지니어 과정을 이수했던 터라 신청이 어렵지는 않았다..

Study/Programing 2023.10.19